Search

NGINX 웹서버에 LetsEncrypt SSL 인증서를 적용해보자

웹서버를 구축 후 무료 SSL인증서 발급 및 HTTPS 적용을 하는 과정을 작성하겠다.
웹 보안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HTTPS 적용이다.
아직 HTTPS가 뭔지 모르는 사람은 아래 포스트를 간단히 훝어 보고 넘어가는 것을 추천한다.
HTTPS 적용을 위한 SSL 인증서를 발급에 비용이 발생되지만,
letsencrypt라는 기관에서 간단한 과정으로 무료로 SSL 인증서를 발급해준다.
와일드카드 인증서 혹은 멀티 도메인 인증서도 발급 가능하다! 단, 인증서의 만료기간은 3개월이며 사용자가 직접 갱신 요청을 해야한다.
인증서를 발급하는 과정에서는 본인 소유의 도메인(도메인의 DNS 레코드를 관리 할 수 있는 권한도 포함)과 서버가 준비되어야 한다. (웹 UI에서 작업하는 환경이 아니다.)

작업 환경

운영체제는 CentOS 7.9, 웹서버는 nginx를 사용할 것이다.
개인 서버가 없는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하는 무료 티어의 VM을 사용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작성자는 개인 개발 서버가 있지만, 이번 실습을 위하여 이전에 생성하였던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하겠다.
필요한 경우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여 무료로 클라우드 서버를 구축하여서 실습하여도 좋다.
또한, 도메인 호스팅의 경우, GoDaddy를 사용하고 있다.
당연한 얘기지만, 도메인을 다른 업체에서 호스팅을 받아도 작업 과정에는 전혀 달라지는것이 없다.
본인 소유의 도메인이 없을 시, 인증서를 발급 받을 수 없는 점 참고하길 바란다.

NGINX, Let's Encrypt 설치

바이너리 설치 or 소스 컴파일 방식의 설치가 아닌 yum을 통한 설치를 할 것이다.
# nginx를 설치 하기 앞서 epel repository를 설치 한다. yum -y install epel-release # nginx, letsencrypt, nginx plguin을 설치한다. # nginx plguin는 필수 설치는 아니지만, 인증서 발급, 갱신 과정의 편의성을 위하여 설치한다. yum -y install letsencrypt nginx python2-certbot-nginx
Bash
복사

NGINX 구동 테스트 및 간단한 커맨드

앞서 언급하였듯이, 인증서를 발급하려면 웹서버가 필요하다.
먼저 nginx를 구동 후,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이 되도록 작업을 하자.
# nginx 서버 구동 전, 서버에 리슨하고 있는 포트 확인 netstat -tnlp | grep LISTEN
Bash
복사
아직 nginx를 구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80포트(http)는 아직 LISTEN 하지 않았다.
# nginx 구동 명령어 nginx
Bash
복사
nginx를 구동하는 명령어는 'nginx'
참고로 1024 이하의 Well Known 포트를 바인딩하는 서비스는 반드시 root 권한으로 구동해야 한다.
# nginx 서버 구동 후, 서버에 리슨하고 있는 포트 확인 netstat -tnlp | grep LISTEN
Bash
복사
nginx를 구동하여, 80포트(http)가 LISTEN 되었다.
자주 사용하는 nginx 명령어
# nginx 구동 nginx # nginx 중지 nginx -s stop # nginx 설정 파일 문법 체크 nginx -t # nginx 설정파일 반영 #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 설정파일을 반영 할 수 있다. # 만약 설정파일 중 문법 오류가 발생할 경우, 변경한 설정은 반영되지 않고, 원래 반영되어 있는 설정이 유지 된다. nginx -s reload
Bash
복사

80, 443 포트 접근 방화벽 정책 추가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서버를 구축하면, 서버 접속을 위한 SSH 기본 포트인 22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에 대한 접근은 막혀있다.
클라우드 콘솔에서 80 포트를 허용해 줘야한다.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https를 적용하는것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80(http 기본 포트), 443(https 기본 포트)포트를 접근할 수 있도록 방화벽 정책을 추가하겠다.
여기서는 오라클 클라우드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오라클 클라우드 접속 > 좌측 세줄 버튼 > 컴퓨트 > 인스턴스 클릭
인스턴스 리스트 > 웹서버로 사용 중인 인스턴스 클릭
인스턴스 정보 > 인스턴스 세부정보 >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 클릭
보안 목록 > Default Security List for vcn-xxx 클릭
수신 규칙 > 수신규칙 추가
스크린샷을 참고하여 HOST는 ANY(0.0.0.0/0), 포트는 80을 입력 후 추가한다. 동일하게 443 포트도 추가.
서버에 SSH 접속 후, firewall-cmd(OS 방화벽)에 80,443 포트를 허용시켜준다.
# 80 포트 접근 영구(--permanent) 허용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tcp # 443 포트 접근 영구(--permanent) 허용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443/tcp # 방화벽 정책 적용 firewall-cmd --reload # 방화벽 정책 리스트 확인 firewall-cmd --permanent --list-all
Bash
복사
서버의 공인 IP로 접속해보자.
접속은 잘 되었다. 근데.... 보통 NGINX의 기본 html이 나와야 하는데, 작성자의 경우, Centos의 웰컴 페이지가 출력되었다.
이건 별로 중요한건 아니지만, 궁금해서 nginx.conf를 확인하였다. "/"으로 접속하였을 때 출력하는 설정파일이 저 페이지로 되어있었다 -_-;;

도메인에 웹서버의 공인 IP 매칭 (A 레코드 등록)

웹서버의 IP와 도메인을 매핑 시켜준다.
테스트를 할 도메인은 web.devj.in이다. 해당 도메인에 웹서버의 공인 IP를 매칭 시켜준다. (A 레코드)
아이피가 아닌 도메인(web.devj.in)으로 접속해보자.

Let's Encrypt의 SSL 인증서 발급 및 갱신 세팅

단일 도메인 뿐만아니라 와일드카드(*.domain.com), 멀티도메인(abc.domain.com, zxc.domain.com, asd.domain2.net)을 지원한다.
여기서는 편의상 단일 도메인에 대해서만 발급하겠다..
인증서 이름(cert-name)을 지정하지 않는 경우, 첫번째 입력한 domainName이 인증서의 이름으로 설정 된다.
인증서의 이름을 입력하지 않는 경우
(여기서 입력하는 이메일주소로 발급하는 인증서의 만료 안내 메일이 발송된다.)
letsencrypt --nginx certonly
Bash
복사
인증서를 삭제할 때는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한다.
letsencrypt delete -cert-name web.devj.in
Bash
복사
인증서의 이름을 지정해서 다시 발급해보자.
letsencrypt --nginx certonly --cert-name devj-chain
Bash
복사
인증서를 갱신하는 경우
letsencrypt --nginx renew
Bash
복사
조금 더 편리한 운영을 위하여 인증서 갱신 스크립트를 crontab에 등록하자.
crontab -e [crontab] # 매월 1일 01시에 갱신을 시도한다. ################### letsencrypt renew ############################ 0 1 1 * * letsencrypt --nginx renew > /dev/null 2>&1 ##################################################################
Bash
복사
인증서에 다른 도메인을 추가하는 경우
letsencrypt --nginx certonly --cert-name devj-chain -d domain.com -d domain2.com
Bash
복사
인증서에 특정 도메인을 제거하는 경우
letsencrypt --nginx certonly --cert-name devj-chain -d domain.com
Bash
복사
눈치챘겠지만, 인증서에 도메인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은 그냥 업데이트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따로 add domain, remove domain와 같은 명령어는 존재하지 않고,
명령어의 인자 중 -d 기준으로 입력되는 domainName 리스트와,
인증서에 저장되어 있는 doaminName을 판단하여 letsencrypt에서 알아서 삭제, 추가를 한다.
인증서 발급, 갱신 시, 인증서에 들어가는 도메인이 현재 웹서버를 바라보고 있는지 DNS 룩업을 한다.
그 과정에서 실패를 할 경우 인증서 발급/갱신이 거부가 된다.
반복적으로 거부가 되는 경우, letsencrypt 측에서 일정 시간동안 발급/갱신을 막는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명령어에 --dry-run 옵션을 추가하면 실제 수행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발급/갱신 요청이 되는지 테스트를 할 수 있다.
letsencrypt --dry-run --nginx renew --cert-name devj-chain letsencrypt --dry-run --nginx certonly --cert-name devj-chain -d domain.com
Bash
복사

NGINX HTTPS 적용

https 적용 및 약간의 nginx 설정 변경도 같이 진행하겠다.
cd /etc/nginx/conf # 항상 설정 파일을 변경할 때 백업을 생활화 하자! cp nginx.conf nginx.conf_org
Bash
복사
vi nginx.conf
Bash
복사
몇 가지 보안 취약 항목에 대한 조치를 하였고...
# 디렉토리 검색 비활성화 autoindex off; # 서버 정보 노출되지 않도록 server_tokens off;
Bash
복사
nginx.conf 하단을 보면 아래와 같은 설정이 있다.
include /etc/nginx/conf.d/*.conf;
Bash
복사
말 그대로 conf.d 디렉토리 하위에 있는 .conf 파일의 설정을 가져온다고 보면된다.
nginx.conf에 모든 설정 값을 넣기 보다, 관련 설정을 모아서 파일명으로 분류하여 관리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작성자는 최초 nginx.conf에 있는 server 설정을 지운 후,
"/etc/nginx/conf.d/default.conf", "/etc/nginx/conf.d/ssl.conf"을 생성하였다.
vi /etc/nginx/conf.d/default.conf
Bash
복사
아래는 http 접속 시 https로 자동 리다이렉트 하는 옵션이다.
return 301 https://$server_name$request_uri;
Bash
복사
vi /etc/nginx/conf.d/ssl.conf
Bash
복사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letsencrypt로 발급한 인증서의 경로를 잡아주는 부분이다.
# SSL 인증서 설정 ssl_certificate /etc/letsencrypt/live/devj-chain/fullchain.pem; ssl_certificate_key /etc/letsencrypt/live/devj-chain/privkey.pem;
Bash
복사
참고로, 아래 설정은 nginx와 tomcat을 연동할 때 (reverse proxy 방식. 궁금하면 구글링하시길..) 사용하는 옵션이다.
[/etc/nginx/conf.d/ssl.conf] location / { proxy_pass <http://127.0.0.1:8080>;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proxy_set_header Host $http_host; limit_except GET POST OPTIONS { deny all; } } [/home/tomcat/conf/server.xml] <Connector port="8080" proxyPort="443" scheme="https"
Bash
복사
이제 다 끝났다! 변경한 nginx 설정을 반영해보자.
# 설정 파일 문법 체크 nginx -t # nginx: the configuration file /etc/nginx/nginx.conf syntax is ok # nginx: configuration file /etc/nginx/nginx.conf test is successful # 설정 반영 nginx -s reload
Bash
복사
주소창에 본인의 웹서버를 접속할 수 있는 url을 입력해보자.
http://url로 접속하여도, https로 정상적으로 리다이렉트가 된다.
따라오느라 고생 많았다!

마치면서....

정적 컨텐츠만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경우, WAS를 사용하지 않고, WEB 서버로만 운영해도 무리가 없다.
요즘 운영되는 웹사이트의 경우 그런 경우보다, 정적 컨텐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웹 서비스 개발을 할 경우, 규모가 작으면, 따로 웹서버를 사용하지 않고 WAS(주로 Tomcat을 사용)로만 운영한다.
현재 대부분의 WAS는 동적 컨텐츠 뿐만 아니라, 정적 컨텐츠 제공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WAS 단독으로 운영해도 무방하지만, WEB 서버와 WAS 서버를 연동하여 사용하는 경우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1. 부하 분산

설정에 따라 정적 컨텐츠는 WEB서버에서(자원 배포 뿐만아니라, web cash 기능을 포함), 동적 컨텐츠는 WAS에서 처리 하게끔 구성 가능.

2. 리버스 프록시 기능을 통한 보안성 강화

앞단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받는 주체(end-point)는 WEB서버 (Apache, NGINX, IIS, ETC...)
실제 요청에 대하여 수행을 하는 주체(back-end)는 WAS(Tomcat, Webloginc, wildfly, ETC...)
이렇게 구성 후, WEB 서버 설정에서 용도에 맞게 사용자의 요청을 뒷 단에 WAS에 넘겨 줄 수 있다.
이러한 인프라를 구축하면 백엔드 서버를 굳이 사용자에게 노출 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WAS 다중화 구성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설명하지 못한 이점도 많이 있지만, 그 중 체감이 큰 건 SSL인증서 관리이다.
앞단에 WEB 서버를 둠으로써, SSL 인증서 세팅을 WAS 별로 다 세팅하지 않고 WEB서버에만 설정해도 적용이 된다는 점이다.
(WAS 별로 인증서 설정을 하게 되면 굉장히 귀찮다 .. -_-;;;)
또.. 다른 개념이긴하지만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를 구성하는 경우,
API GATEWAY라는 프록시를 두게되면(NGINX 지원!),
API를 호출하는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도 엔드 포인트가 하나로 좁혀지기 때문에, API에 대한 관리가 편리해진다..
모쪼록 몇 몇 사람들에게 해당 포스트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